sk 님, 상담소에서 답변을 드려요.
자신이 레즈비언인지 아닌지
상담원도 님의 마음과 상황이 짐작되어
고개를 끄덕이며 글을 읽었어요.
함께 고민을 나눌 수 있다면 좋겠네요.
만나게 되어 반가워요.
먼저 좋아하는 건 항상 여자 친구이고
남자연예인보다 여자연예인에게 더 호감이 간다고 적어 주셨어요.
레즈비언이라는 이름이 주는 무게감 때문에
내가 레즈비언인지 아닌지에 대한 고민이
더욱 깊어지신 모양이에요.
님께서는 "진짜 궁금한 것은 저 레즈비언인가요?"라고
질문을 올려주셨는데요.
상담원이 님이 레즈비언이다, 아니다
확실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려워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대답하기란 어렵거든요.
무엇보다 정체성에 대한 탐색은
자기 자신이 이뤄나가야 하는 것이고,
그런 정체성이 앞으로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다른 사람이 억지로 정해줄 수는 없는 노릇일 거에요.
하지만 님이 이전에 겪었던 동성에 대한 이끌림, 감정,
그리고 앞으로 겪을 여러 경험들을 아울러서
정체성에 대해 고민해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상담원이 강조해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지금 당장 레즈비언인지 아닌지 정할 필요는 없다는 거에요.
여자를 좋아한다고 해서 무조건 나는 레즈비언이다, 할 필요는 없거든요.
님이 레즈비언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도 중요하고,
반대로 레즈비언이 아닐 거라고 생각하며 살아갈 수도 있겠지만요.
그 모든 결정들은 시간을 두고 차차 해나가도 좋아요.
하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를 떠나
지금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상담원이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동성의 상대에 대한 이끌림은
이상한 것도, 잘못된 것도 아니라는 점이에요.
님이 누군가를 좋아했던 기억이 있다는 것,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는 일,
이런 감정들은 아주 소중하다고 생각해요.
즉 여자가 여자를 좋아한다고 해서
님이 자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거에요.
물론 이성간 짝사랑과는 달리
다른 친구들에게 털어놓고 상담받을 수도 없고,
그 마음을 숨겨야 할지도 몰라요.
우리 사회는 동성애에 대해 아직도 편견이 많으니까요.
님 자신도 레즈비언이라는 단어에 대해
스스로 받아들이기 어려울지도 모르겠어요.
님이 올려주신 글을 보면 님이 참 씩씩하고 용감하게 고민을 떠안고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내가 누구인가 질문을 던지고 계시다는 걸 알 수 있었어요.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에서는 워낙
동성애는 잘못된 것이라는 편견이 팽배해,
내가 나쁜 건가, 잘못된 건가 헷갈릴 때도 있을지 몰라요.
사랑, 성관계, 결혼 등은
이성간에만 성립 가능하고
이성간에 성립했을 때라야만 정상적인 거라는
완고한 편견이 바로 동성을 사랑하는 경험을 하는
당사자들조차도 겁에 질리게 만드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상담원도 안타깝고 속상해요.
하지만 님, 이 점을 기억해 주세요.
여자가 여자에게, 또는 남자가 남자에게,
가슴 떨리고, 같이 있고 싶고, 가장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고,
실제로 교제하는 이 모든 것은
그 자체로 존중받아 마땅한 일이랍니다.
있는 그대로 지극히 자연스런 일이고 말이지요.
사람은 누구나
동성에게 끌릴 수 있는 가능성과
이성에게 끌릴 수 있는 가능성을
다 품고 있다고 해요.
이성애만 정상이란 관념이 팽배하다보니,
동성의 상대에게 이끌릴 수 있는 자기 안의 가능성을
미처 깨닫지 못하고 그저 이성애자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상당수일 따름이고요.
그러니 억지스럽고 부자연스러운 건 동성애 그 자체가 아니라
오히려 이 동성애란 것을 애써 비정상적인 거라고 단죄하는
우리 사회라고 할 수 있겠어요.
그러므로 님은
본인이 여자 친구를 좋아한다는 점 때문에
죄책감을 갖거나, 수치심을 느끼거나, 두려워 하거나
그러지 않아도 정말 괜찮아요.
한국 사회가 아무리 동성애에 관대하지 않다 해도
아주 많은 사람들이 동성의 친구에게 이끌림을 느끼며,
또 그 이끌림을 당당히 받아들이며 우리 사회에 살아가고 있답니다.
아마 드러나지 않아서 그렇지,
님의 학교나 학원 등 주변에도
동성애자 친구들이나 선생님이 있을 수 있지요.
이렇듯 님의 감정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님 자신의 정체성 고민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민해보면 좋겠어요.
그런 경험들은 님에게
'나는 레즈비언일까'라는 질문의 답변에
맞다, 아니다라는 확신을 더 가져다주게 될 거에요.
그런 경험들을 통해 더욱 성숙해나갈 수 있으리라 믿어요.
님에게 격려를 보내드려요.
앞으로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 상담소 방문해주세요.
상담원이 응원을 보내고 있을게요.
힘내세요.
날씨가 추워졌는데 건강 조심하시고요.
그럼 이만 상담을 마쳐요.
자신이 레즈비언인지 아닌지
상담원도 님의 마음과 상황이 짐작되어
고개를 끄덕이며 글을 읽었어요.
함께 고민을 나눌 수 있다면 좋겠네요.
만나게 되어 반가워요.
먼저 좋아하는 건 항상 여자 친구이고
남자연예인보다 여자연예인에게 더 호감이 간다고 적어 주셨어요.
레즈비언이라는 이름이 주는 무게감 때문에
내가 레즈비언인지 아닌지에 대한 고민이
더욱 깊어지신 모양이에요.
님께서는 "진짜 궁금한 것은 저 레즈비언인가요?"라고
질문을 올려주셨는데요.
상담원이 님이 레즈비언이다, 아니다
확실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려워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대답하기란 어렵거든요.
무엇보다 정체성에 대한 탐색은
자기 자신이 이뤄나가야 하는 것이고,
그런 정체성이 앞으로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다른 사람이 억지로 정해줄 수는 없는 노릇일 거에요.
하지만 님이 이전에 겪었던 동성에 대한 이끌림, 감정,
그리고 앞으로 겪을 여러 경험들을 아울러서
정체성에 대해 고민해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상담원이 강조해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지금 당장 레즈비언인지 아닌지 정할 필요는 없다는 거에요.
여자를 좋아한다고 해서 무조건 나는 레즈비언이다, 할 필요는 없거든요.
님이 레즈비언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도 중요하고,
반대로 레즈비언이 아닐 거라고 생각하며 살아갈 수도 있겠지만요.
그 모든 결정들은 시간을 두고 차차 해나가도 좋아요.
하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를 떠나
지금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상담원이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동성의 상대에 대한 이끌림은
이상한 것도, 잘못된 것도 아니라는 점이에요.
님이 누군가를 좋아했던 기억이 있다는 것,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는 일,
이런 감정들은 아주 소중하다고 생각해요.
즉 여자가 여자를 좋아한다고 해서
님이 자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거에요.
물론 이성간 짝사랑과는 달리
다른 친구들에게 털어놓고 상담받을 수도 없고,
그 마음을 숨겨야 할지도 몰라요.
우리 사회는 동성애에 대해 아직도 편견이 많으니까요.
님 자신도 레즈비언이라는 단어에 대해
스스로 받아들이기 어려울지도 모르겠어요.
님이 올려주신 글을 보면 님이 참 씩씩하고 용감하게 고민을 떠안고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내가 누구인가 질문을 던지고 계시다는 걸 알 수 있었어요.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에서는 워낙
동성애는 잘못된 것이라는 편견이 팽배해,
내가 나쁜 건가, 잘못된 건가 헷갈릴 때도 있을지 몰라요.
사랑, 성관계, 결혼 등은
이성간에만 성립 가능하고
이성간에 성립했을 때라야만 정상적인 거라는
완고한 편견이 바로 동성을 사랑하는 경험을 하는
당사자들조차도 겁에 질리게 만드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상담원도 안타깝고 속상해요.
하지만 님, 이 점을 기억해 주세요.
여자가 여자에게, 또는 남자가 남자에게,
가슴 떨리고, 같이 있고 싶고, 가장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고,
실제로 교제하는 이 모든 것은
그 자체로 존중받아 마땅한 일이랍니다.
있는 그대로 지극히 자연스런 일이고 말이지요.
사람은 누구나
동성에게 끌릴 수 있는 가능성과
이성에게 끌릴 수 있는 가능성을
다 품고 있다고 해요.
이성애만 정상이란 관념이 팽배하다보니,
동성의 상대에게 이끌릴 수 있는 자기 안의 가능성을
미처 깨닫지 못하고 그저 이성애자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상당수일 따름이고요.
그러니 억지스럽고 부자연스러운 건 동성애 그 자체가 아니라
오히려 이 동성애란 것을 애써 비정상적인 거라고 단죄하는
우리 사회라고 할 수 있겠어요.
그러므로 님은
본인이 여자 친구를 좋아한다는 점 때문에
죄책감을 갖거나, 수치심을 느끼거나, 두려워 하거나
그러지 않아도 정말 괜찮아요.
한국 사회가 아무리 동성애에 관대하지 않다 해도
아주 많은 사람들이 동성의 친구에게 이끌림을 느끼며,
또 그 이끌림을 당당히 받아들이며 우리 사회에 살아가고 있답니다.
아마 드러나지 않아서 그렇지,
님의 학교나 학원 등 주변에도
동성애자 친구들이나 선생님이 있을 수 있지요.
이렇듯 님의 감정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님 자신의 정체성 고민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민해보면 좋겠어요.
그런 경험들은 님에게
'나는 레즈비언일까'라는 질문의 답변에
맞다, 아니다라는 확신을 더 가져다주게 될 거에요.
그런 경험들을 통해 더욱 성숙해나갈 수 있으리라 믿어요.
님에게 격려를 보내드려요.
앞으로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 상담소 방문해주세요.
상담원이 응원을 보내고 있을게요.
힘내세요.
날씨가 추워졌는데 건강 조심하시고요.
그럼 이만 상담을 마쳐요.